웹 성능 관점에서 본 Astro

#astro#performance#island architecture
Astro의 성능 측정 결과 (출처: 공식 사이트)
Astro의 성능 측정 결과 (출처: 공식 사이트)

서론

XMLHttpRequest기반 RIA의 개발부터. Selective Hydration을 구현하고 있는 웹 기술의 변천사를 하나하나 돌이켜 보다 보면. 어떻게 이런 생각까지 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으로 자연스럽게 흘러 가게 된다.

웹 기술의 변화를 이끄는 조직은 수도 없겠지만 가장 눈에 띄는 곳은 단연 facebook, vercel, shopify일 것이다. 이 곳의 협업을 통해 개선되는 react, nextjs 의 신기능 시연은 여가 시간에 한번이라도 더 컴퓨터 앞에 앉게 만드는 자극제가 되고 있다.

소개된 기술 중 Streaming Server Rendering with Suspense 와 같은 기능들은 이 글을 쓰고 있는 2023년에도 아직 실험적 기능이라는 딱지를 달고 있고 완전하게 동작하지는 않고 있지만. (nextjs 13.2 에는 라우팅 단위로 비슷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업데이트 되었다)

사실 Hydration 과정을 스트리밍하는 개념 자체는 react의 발표 전에도 존재했으며 오늘 글에서 소개할 Astro는 그런 개념 중 Island Architecture를 프레임워크 레벨에서 구현하고 있다.

용어가 생소할 수 있는데 내용을 보다 보면 익숙한 느낌이 들 것이다. 기본적인 개념 설명과 Gatsby로 개발했던 블로그를 Astro로 옮기며 생긴 변화들에 대해서 정리한다.

Island Architecture

preactjs의 개발자 Jason Miller가 쓴 Island Architecture에 대한 소개를 보면 Etsy의 프론트엔드 엔지니어 Katie Sylor-Miller 와의 미팅 중에 관련된 개념에 대한 이야기를 처음 나눴다고 한다.

출처: Islands Architecture: Jason Miller
출처: Islands Architecture: Jason Miller

Island Architecture의 요점은 페이지 내에 동적인 영역에 대한 html은 서버가 렌더링하여 내려주고. 인터렉션을 위한 JS를 후속하여 내려받도록 해 점진적으로 페이지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SR이 SEO를 고려해 자주 구현되곤 하지만, SSR은 인터렉션에 관련된 JS가 다운로드되고 실행되기 전 까지 페이지가 동작하지 않는 부정적인 경험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발되는 JS를 처리하기 위한 리소스 소모가 생각보다 많다고 한다.

또한. 서버에서 렌더링해 내려주는 html에는 뉴스의 경우 본문이, 상품 페이지의 경우 상품 설명 등. 사용자 입장에서 필수적인 내용이 꼭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react의 스트리밍 서버 렌더링 소개 영상이 2021년 발표되었으니. 이 개념은 알려진 것 보다 프론트엔드 엔지니어들 사이에서 훨씬 전에 논의되고 구현되어 왔던 것이다.

따라서 Island Architecture는 어느 프레임웍 혹은 라이브러리를 지칭하는 용어가 아니라 디자인 패턴일 뿐이다. 해당 디자인 패턴을 구현하는 프레임웍이나 라이브러리는 많다. 그런데 Astro가 State Of JS 2022 기준으로는 가장 높은 Ratio를 기록하고 있다.

State Of JS 2022 Rendering Frameworks
State Of JS 2022 Rendering Frameworks

Astro의 Component Island

Astro는 기본적으로 모든 웹을 zero client-side JS으로 생성한다. Astro는 React, Preact, Svelte, Vue, SolidJS, AlpineJS, Lit 등으로 만든 UI컴포넌트들도 HTML을 만들긴 하지만 마찬가지로 JS를 걷어낸 상태로 렌더링한다.

렌더링 된 HTML에는 placeholder혹은 slot역할을 하는 <astro-island /> 요소가 자리잡게 된다. 아래는 현재 블로그에서 preact로 구현된 Table Of Content (목차) 컴포넌트의 SSR결과 스크린샷이다. 보면 알겠지만 주요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다.

preact로 개발된 TOC컴포넌트의 SSR 결과
preact로 개발된 TOC컴포넌트의 SSR 결과

Astro는 각 island에 대해 어느 순간에 어떻게 로드될 것인지에 대한 지시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블로그의 경우 뷰포트의 크기가 1388px 이상일 때에만 우측에 TOC를 노출하고 있는데 따라서 아래와 같이 지시자를 추가하였다.

<Layout>
  <div class="wrapper">
    <div class="content">{/* 본문 */}</div>
    <TOC headings={headings} client:visible />
  </div>
</Layout>
@media (max-width: 1388px) {
  .toc {
    display: none;
  }
}

미디어쿼리를 통해 뷰포트가 작으면 <TOC />가 노출되지 않고. 조건에 해당될 경우 client:visible 지시자를 통해 화면에 노출될 때에만 컴포넌트에 필요한 JS를 동적으로 로드하여 Hydration하게 된다.

동적으로 로드된 JS들. react 런타임마저도 동적으로 로드되고 있다.
동적으로 로드된 JS들. react 런타임마저도 동적으로 로드되고 있다.

이런 클라이언트 지시자들은 위에서 소개한 뷰포트 노출 여부 뿐만 아니라 브라우저 활성화 상태, 미디어 쿼리 등 다양하게 지원하고 있으므로 적절하게 잘 사용하는 것 만으로도 브라우저의 FCP를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는 메인 스레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필요한 곳에 직접 구현해 적용해야 했던 과거와 달리 엄청 간편해진 셈이다.

Zero Client-Side JS

어떤 기술을 사용하던 결국 모던 웹 앱 개발에서 TTI(인터렉티브가 가능해지기까지의 시간)를 개선하는 것은 JS를 얼만큼 줄이느냐의 싸움으로 귀결된다. Netflix가 서비스를 Vanilla JS로 전환하고 TTI가 50% 감소했다는 사례를 보면 JS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무런 내용 없이 create-react-appreact-router-dom만을 사용한 앱의 번들 크기는 gzipped기준 약 70kB 정도가 된다. history를 응용해 인앱 라우팅을 구현하는 코드만으로도 번들 크기가 꽤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astro로 옮긴 후 측정한 결과. 이전에도 좋았지만 훨씬 좋아졌다.
astro로 옮긴 후 측정한 결과. 이전에도 좋았지만 훨씬 좋아졌다.

이는 Astro로 개발한 이 블로그의 홈에서 이미지와 GA를 제외한 초기 사이즈 (약 30KB)대비 57.14%나 안 좋은 수치이다. (이 블로그 뿐만 아니라 Astro공식 홈페이지의 Showcase에 있는 사이트들은 모두 매우 작은 크기를 자랑하고 있다)

Astro가 용량이 작을 수 있는 건. 초기 설계 단에서 신경을 쓴것도 영향이 있겠지만 단지.. 이런 코드들이 없기 때문이다. Astro Routing API문서를 확인해 보면 알겠지만 기본적으로 SPA를 위한 js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페이지 이동은 <a href=".." />를 사용한 전통적인 리다이렉트에 의존하고 있다.

또 Astro에서는 위에서 소개한 서드파티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없이 Astro로 컴포넌트를 만들 경우에 대해서는. DOM에 이벤트를 붙이기 위해 document.querySelectoraddEventListener를 사용해야 한다.

그럼 이벤트 제거는 어떻게 하나? 안해도 된다. 왜냐면 <a href=".." />로 페이지 자체가 이동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경우가 필요하면 위에서 언급한 react, preact, solidjs 등을 사용하면 된다)

페이지 로드 후 실행되는 코드들에 대해 트랜스파일은 해 주지만 별도 추가 코드가 포함되어 있지는 않다. 말 그대로 Zero Client-Side JS에 가까운 셈이다.

Astro를 도입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gatsby 공식 스타터 중 gatsby-starter-blog 데모는 내용이 별로 많지 않음에도 웹 폰트 제외 초기 JS의 크기만 100kB이다.

이 블로그도 이전에 gatsby로 개발했었는데. 블로그 본질적인 기능만을 남긴다고 했을 때 불필요한 JS가 너무 많았다. 스타터 템플릿이 그런데 예전 gatsby버전은 더 했을 것이다.

글을 보여주는 기능 외 다른 리소스들은 아무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는 목적이라고 해도 꼼꼼히 따져본다면 결국 불필요한 리소스가 되고 만다. 이는 앱을 기획할 때 부터 앱의 성격에 따라 전략을 달리하는것이 올바르다 할 수 있다.

현재까지 Astro를 포함 Island Architecture를 구현한 프로젝트들은 모두 적은 TTI를 강점으로 내새우고 있고 이는 정적 컨텐츠 위주의 사이트에서 극대화된다. JS를 최소화하기 용이하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반면에 대시보드 앱과 같이 인터렉션이 필요한 UI가 많은 상황에서는 페이지 로드와 동시에 모든 JS를 받게 될 확률이 높을 것이다. 이렇게 되면 Astro의 모든 장점을 극대화하기가 어려워진다. 이럴 땐 핸들러 단위로 JS를 쪼개주는 qwik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겠다.

결론

아래는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해본 생각들과 장점 및 단점이다

장점

  • 정적 컨텐츠 위주의 사이트에서 JS를 최소하하여 TTI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페이지 로드 속도가 드라마틱하게 빨라진다)
  • react, preact, solidjs, lit 등 기존에 만들어진 컴포넌트를 그대로 쓸 수 있다
  • Island 별로 지시자를 통해 Hydration을 적절히 컨트롤할 수 있다

단점

  • 동적 컨텐츠 위주의 사이트에서는 초기에 모든 JS를 로드해야 할 가능성이 높아 장점이 퇴색된다
  • 커뮤니티가 아직 많이 활성화되지 않았다

티저 사이트, 블로그, 포트폴리오 사이트에는 무조건 쓰는 것이 좋겠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