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진행 중 새로운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도입해야 하는 상황이다.보통 서드파티 라이브러리 중 하나를 고를텐데. 이 때 보통 하는 것이 아래 사항들을 검토하는 것이다.필요성: 직접 구현보다 라이브러리를 쓰는 게 명확히 이점이 있는가?안정성: 최근까지 활발히 유지보...
MCP는 Anthropic이 24년 11월 공개한 오픈소스 프로토콜이다. AI모델이 외부 도구를 사용하는 개념은 이전에도 있었지만, 개방적인 설계로 커뮤니티 참여를 유도하여 현 시점 꽤 핫한 기술이 되었다.당장 실무에 도움이 되지 않더라도, 트렌드는 파악해야겠다 싶어 ...
얼마 전부터 AI를 활용한 개발을 Vibe Coding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단어가 적절한 듯 하면서도,
무언가 불필요하게 포장된 느낌이라 입에 딱 붙지는 않는다. 업무상으로는 아예 다르게 표현하고 싶을 정도…2024년 중순부터 내가 속한 조직에서도 copilot을 시...
큰 규모의 개발 조직에서는 보통 예산이나 리소스를 여유롭게 사용한다. 이런 조직은 대개 비용보다 기술적인 가치에 중점을 두고 업무를 진행하고 평가도 그 기준에 따른다.그렇다 보니 소속 개발자들도 자연스럽게 기술 중심으로 업무를 진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최신 기술 스택...
최근 담당한 서비스의 CWV개선작업 중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페이지에 <img>태그를 사용하면 이미지가 강제로 preload처리되는 현상이었다. CWV개선을 위해서는 리소스의 우선순위 최적화가 필수인데. 위의 현상때문에 주요 리소스의 로드를 방해하도록 html이 렌...